3분기 가계 여윳돈 3.5조 감소…GDP 대비 가계빚 90.8%
![]() |
가계 소득 증가에도 주택 취득 영향으로 여윳돈 줄어 |
주택 취득 증가로 가계 여윳돈 감소
2024년 3분기, 한국은행의 ‘자금순환’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여윳돈이 전분기 대비 3조5000억 원 줄어든 37조7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주택 취득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개인 아파트 순취득 건수는 2분기 5만3000호에서 3분기 7만2000호로 확대되었습니다. 주택 구입을 위한 금융기관 차입금 역시 2분기 14조5000억 원에서 3분기 19조9000억 원으로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도 꾸준히 증가하며 3분기에 19조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가계 소득은 증가, 그러나 금융자산 성장폭은 둔화
3분기 가계 소득은 전분기 -3.1%에서 5.9%로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금융자산의 증가폭은 둔화되었습니다. 코스피 등 주가 하락의 영향으로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의 시가평가액이 크게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가계의 금융자산은 전분기 대비 21조6000억 원 증가한 5429조9000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나, 2분기의 증가폭인 82조1000억 원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입니다.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감소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분기 말 92.1%에서 2분기 91.1%로, 3분기 말에는 90.8%까지 낮아졌습니다. 한국은행은 4분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율이 더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안정적인 하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업 및 정부 재정 현황
기업, 고정자산 투자 증가로 자금 조달 확대
3분기 기업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25조5000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증가했습니다. 이는 고정자산 투자 확대 때문입니다. 그러나 상장기업의 당기순이익은 전분기의 30조2000억 원에서 24조8000억 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 자금 조달 규모 감소
3분기 정부의 총수입은 143조4000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총지출은 전분기 대비 크게 줄어들어 120조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재정증권 및 한국은행 차입금 상환으로 자금 조달 규모는 -9조7000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습니다.
전문가 전망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자금순환팀장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분기 말 90.8%까지 낮아졌으며, 4분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율 둔화로 하향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TAG
가계부채, 가계 여윳돈, GDP 대비 부채, 주택 취득, 금융자산
댓글
댓글 쓰기